본문 바로가기
환경 친화적 생활가이드

플라스틱과 기후변화, 일회용품이 지구 온도에 미치는 영향

by 오늘의 궁금증 2025. 8. 23.

플라스틱, 지구온난화, 기후변화

플라스틱 생산과 온실가스 배출의 관계

현대 사회에서 플라스틱은 필수적인 소재지만, 생산 과정에서 막대한 온실가스를 배출한다는 사실은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플라스틱의 주요 원료는 석유와 천연가스이며, 이를 추출하고 정제하는 과정에서 이미 상당한 이산화탄소가 발생합니다.

또한 플라스틱 제조 공정은 고온·고압 설비를 필요로 하며, 많은 전력과 화석연료를 사용합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플라스틱 산업은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약 3~4%를 차지합니다. 현재 추세대로라면 2050년에는 석유 소비의 20%가 플라스틱 생산에 사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단순한 환경오염을 넘어 지구 평균 기온 상승의 주요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일회용품 사용의 환경적 파급력

플라스틱 문제의 핵심은 바로 일회용품 사용 문화입니다. 음료 컵, 빨대, 비닐봉지, 포장재 등은 사용 시간은 짧지만, 폐기 후에는 수백 년 동안 자연에 남습니다. 매립 과정에서는 메탄가스가, 소각 과정에서는 이산화탄소와 유해 화학물질이 대량으로 배출됩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마스크와 배달 포장재 사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일회용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와 탄소 배출은 더욱 심화되었습니다. 특히 재활용률이 낮은 배달 음식 용기, 일회용 컵, 비닐 포장재는 대부분 소각이나 매립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온실가스 저감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일회용품 사용은 플라스틱 생산 증가를 촉진하고, 다시 탄소 배출을 확대하는 악순환을 만들어 냅니다.

  • 플라스틱 유형 별 자연 분해 소요 기간과 생산 시 탄소 배출량
플라스틱 제품 유형 분해 소요 시간 생산 시 탄소 배출량 (g CO₂e/1g 플라스틱)
플라스틱 쇼핑백 (PE) 10~1000년 1.7~3.0
일회용 음료 컵 (스티로폼, PS) 약 50년 2.5~3.5
일회용 음료 컵 (플라스틱, PP) 약 400년 1.5~2.5
일회용 빨대 (PP) 약 200년 1.5~2.5
일회용 포장재 (PE/PP) 약 100~1000년 1.5~3.0
일회용 기저귀 (혼합 플라스틱) 약 450~500년 2.0~3.0

** 탄소 배출량 수치는 플라스틱 종류와 생산 공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플라스틱과 기후 시스템 교란

폐기된 플라스틱은 시간이 지나면서 잘게 부서져 마이크로플라스틱이 됩니다. 이 작은 입자들은 대기, 토양, 해양 등 지구 생태계 전반에 퍼지며 기후 시스템에도 영향을 줍니다. 연구에 따르면 대기 중 마이크로플라스틱은 구름 형성과 열 흡수 과정에 간접적으로 작용해 기후 변화의 불확실성을 키울 수 있습니다. 해양에 떠다니는 미세 플라스틱은 햇빛 반사와 흡수를 통해 해수 온도에 미세한 영향을 주며, 장기적으로 기후 순환에도 변화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마이크로플라스틱은 먹이사슬을 통해 인간의 건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극지방 빙하와 대기 먼지에서도 발견될 정도로 전 지구적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 마이크로플라스틱이 기후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주요 연구

1) 대기 중 마이크로플라스틱의 구름 형성 영향 연구

- 마이크로플라스틱이 구름 내 얼음 결정 형성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 Freedman, M., & Busse, H. (2024). Microplastics impact cloud formation, likely affecting weather and climate. Penn State News.

- https://www.psu.edu/news/research/story/microplastics-impact-cloud-formation-likely-affecting-weather-and-climate

2) 해양에서의 마이크로플라스틱 분포 및 영향 연구

- 2025년 연구에서는 해양 수심 50cm 이하에서의 마이크로플라스틱 분포를 조사하였습니다.

- Nature Research. (2025). The distribution of subsurface microplastics in the ocean. Nature.

-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5-08818-1

 

 

국제적 대응과 기업의 노력

 

플라스틱과 기후변화의 연관성이 명확해지면서 국제사회는 다양한 대응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국제 및 국가별 플라스틱 규제 정책 
국가/기구 정책명 주요 내용 추진 현황 및 세부 사항
유럽연합 (EU) 일회용 플라스틱 지침
(SUPD)
플라스틱 컵, 접시, 빨대, 면봉 등 10개 품목 금지 2021년부터 시행 중이며, 2024년까지 모든 포장재를 재활용 가능하도록 규제 강화 예정
유엔 (UN) 플라스틱 오염 종식 협약 전 세계 플라스틱 생산, 소비, 폐기 전 과정에 대한 법적 구속력 있는 국제 협약 추진 2025년까지 협약 최종안 마련 목표로 협상 중이나, 일부 국가 간 의견 차이로 진전이 지연되고 있음
미국 연방 차원 일회용 플라스틱 단계적 폐지 계획 국립공원 등 공공부문에서 일회용 플라스틱 구매, 판매, 배급 금지 2032년까지 단계적 시행 예정이나, 2025년 2월 트럼프 전 대통령이 관련 정책을 철회한다고 발표함
일본 플라스틱 자원순환법 12개 일회용 플라스틱 품목의 사용 제한 및 재활용·친환경 대체품 사용 촉진 법 시행 이후 기업들의 대응이 활발하나, 구체적인 시행 실적은 지역별로 상이함

 

정부가 플라스틱 규제 정책을 시행하며 친환경 활동을 적극 추진하는 한편, 기업들도 ESG 경영을 도입해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는 노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기업 차원의 플라스틱 감축 전략
기업 활동 주요 내용 효과
재활용 가능한
포장재 사용
플라스틱 사용 최소화 및 재활용 소재 적용 제품 포장에 재활용 PET, 종이, 생분해성 소재 등을 활용하여 폐기물 발생 감소
다회용 용기
시스템 도입
고객 참여형 다회용기 제공 카페·외식업체에서 텀블러, 다회용 용기 대여 및 회수 시스템 운영으로 1회용품 사용 감소
해양 플라스틱
재활용 원단 활용
친환경 제품 소재 활용 버려진 해양 플라스틱을 수거해 의류, 가방, 신발 등 제품 원단으로 재활용

 

이 밖에도 생분해성 플라스틱, 바이오 기반 플라스틱, 경량화 포장재 등 공급망 전반에서 탄소 배출을 최소화하는 혁신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소비자 참여를 유도하는 리필 스테이션, 다회용 컵 반환 프로그램도 확산되고 있습니다.

 

소비자의 책임 있는 실천과 미래 전망

정부와 기업이 플라스틱 문제 해결에 나서고 있는 지금, 소비자의 역할 또한 매우 중요합니다.

소비자는 기후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일상생활 속 습관을 바꾸어 플라스틱 사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개인이 어떻게 플라스틱을 줄여나갈 수 있을까요? 

소비자 역할 실천 방법
일회용품 줄이기 - 장바구니, 텀블러, 개인 컵 사용
- 플라스틱 빨대, 컵뚜껑 사용 최소화
- 1회용 비닐봉투 대신 재사용 가능한 가방 활용
다회용 제품 활용 - 도시락, 물병, 커피컵 등 개인 다회용 용기 사용
- 다회용 용기 대여 서비스 이용
- 카페·식당에서 제공하는 다회용기 시스템 참여
친환경 포장재 선택 - 재활용 가능 또는 생분해성 포장재 제품 구매
- 불필요한 포장재 없는 제품 선택
- 온라인 쇼핑 시 친환경 배송 옵션 선택

 

이 외에도 기업의 ESG 정책과 친환경 제품을 꼼꼼히 확인하고 선택하는 소비 습관은 사회 전반에 지속 가능한 변화를 유도합니다.

앞으로 플라스틱과 기후변화 문제는 계속 심화될 가능성이 높지만, 기술 발전과 정책적 대응도 동시에 강화될 것입니다. 생분해 플라스틱, 바이오 플라스틱, 고도화된 재활용 시스템 등 다양한 대안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소비자의 의식 변화입니다. 작은 실천이 모일 때, 플라스틱과 기후변화의 악순환을 끊고 지속 가능한 지구를 만들어 갈 수 있습니다.